화물차 냉동기 및 탑차 종류에 대한 정리
탑차는 운송하는 화물의 온도 조건에 따라 크게 '내장탑(상온용)'과 '냉탑(저온용)'으로 구분됩니다. 두 차량은 외형은 비슷하지만, 적재함의 단열 성능과 냉동기 장착 여부에서 큰 차이가 있습니다.
(윙바디와 같은 형식도 있지만 본문에서는 다루지 않습니다)
1. 탑차의 종류
① 내장탑(상온 운송용)
특징: 상온 화물을 운송하는 차량으로, 단열이 필요하지 않거나 최소화된 구조
패널 두께: 냉탑에 비해 얇음
냉동기 장착 여부: 없음
장점: 특장 비용이 낮고 유지비가 적게 듦
운송 대상: 일반 생활용품, 공산품, 상온 보관이 가능한 식품 등
② 냉탑 (저온 운송용)
특징: 냉동/냉장 물품을 운송하는 차량으로, 단열 성능이 강화된 구조
패널 두께: 내장탑보다 두껍고, 천장・바닥 포함 모든 면에서 단열 처리
냉동기 장착: 필수적으로 장착됨
장점: 냉동뿐만 아니라 냉동기 OFF시 상온 운송도 가능하여 활용도가 높음 (혼재 운송, 온도 제어)
운송 대상: 신선식품, 냉동식품, 음료, 식자재, 의약품, 화학물질 등
2. 화물차 냉동기의 역할과 원리
① 화물차 냉동기란?
화물차의 적재함 내부 온도를 유지•조절하여 식품, 의약품 등의 신선도를 관리하는 핵심 장비입니다.
📌 주요 구성 요소
- 압축기(컴프레서, Compressor) - 냉매를 압축하여 순환시키는 역할
- 증발기(Evaporator) - 냉매가 기체화되며 열을 흡수해 적재함을 냉각
- 콘덴서(Condensor) - 흡수된 열을 방출하여 냉매를 다시 액화
- 냉매(Refrigerant) - 냉각 사이클을 통해 열을 이동시키는 물질
- 제어 시스템(Control System) - 온도 조절 및 모니터링 기능
(화물차 냉동기는 기본적으로 압축기(컴프레서), 증발기, 콘덴서, 냉매 및 제어 시스템 등의 주요 구성 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압축기는 냉매의 압축을 담당하고, 증발기는 압축된 냉매를 통해 열을 흡수하여 화물차 내부를 냉각한다. 이후 콘덴서는 열을 방출하여 냉매를 압축기로 되될리는 역할을 수행한다. 냉매는 이러한 과정에서 열 흡수와 방출을 반복하며, 제어 시스템은 냉동기의 작동을 조절하고 모니터링 한다. 우리가 많이 들어본 에어컨의 실외기 동작 중 압축기를 통과한 뜨거운 가스가 팬을 통과하며 온도가 낮아지며 액체 상태가 되는데 이때 가스가 응축되었다 하여 응축기라고도 한다.
일련의 과정을 더 거쳐 실내기로 온 액체 상태의 냉매가 열을 흡수하여 기체 상태로 변하는데 냉매가 증발되었다고 하여 실내기를 증발기라고도 한다)
② 원냉과 투냉의 차이
- 원냉(단일 증발기): 적재함 내부에 증발기 1개 설치
- 투냉(이중 증발기): 증발기 2개 설치 > 다른 온도로 냉장/냉동/상온을 혼합 운송 가능
- 기업물류 요구사항: 대부분 2.5톤 이상 차량은 투냉을 기본적으로 요구
(다중 온도 조절, 기업물류, 온도 기록계 센서, 중간 칸막이)
3. 냉동기의 종류 및 특징
① 메인 냉동기
차량의 엔진에 부착된 컴프레서(압축기)를 이용하여 작동
장점: 별도 연료가 필요 없고 설치 비용이 저렴함
단점: 엔진 부하 증가, 차량 시동이 꺼지면 냉동기 가동 불가
② 싱글컴프
메인 컴프레서 1개 사용
주로 1~2.5톤 이하 탑차에 사용
단점: 차량 실내 에어컨과 동시 사용 시 용량 부족으로 냉각 성능 저하 가능
③ 트윈컴프
메인 컴프레서(주냉동기) + 세컨컴프(보조냉동기) 사용
장점: 실내 에어컨과 적재함 냉동을 분리하여 성능 개선
④ 일체형 트윈컴프
기존 증발기를 외부 응축기와 일체형으로 제작하여 적재 공간 활용성 증가
('싱글•트윈컴프 = 벽걸이 에어컨' / '일체형 트윈컴프 = 창문형 에어컨으로 이해 가능')
⑤ 서브냉동기
독립적인 냉동기 전용 엔진 사용(경유 연료 기반)
차량 시동과 무관하게 냉동기 작동 가능
장점: 강력한 냉각 성능, 장시간 운행 시 유리
단점: 제작비와 유지비 증가, 주로 5톤 이상 대형 트럭에 사용
4. 번외: 2.5톤 이상 차량은 2008년 이후부터 원냉 차량이라도 기본적으로 컴프 2개 사용
1톤 차량은 최근 5~6년간 트윈컴프 옵션 추가 차량 증가
컴프 1개 차량 단점:
실내 에어컨과 냉동탑을 동시 가동 시 냉각 성능 저하
컴프 2개 차량이 냉각 성능에서 월등히 유리
(다중 컴프레서 / 적재함 온도 유지)
🧐
❖ 내장탑 vs 냉탑 선택 기준
✔︎ 상온 물품 위주 → 내장탑
✔︎ 냉장•냉동 필요 → 냉탑 (혼재 운송 가능)
❖ 냉동기 선택 기준
✔︎ 단순 냉각 기능 필요 → 메인 냉동기, 싱글컴프
✔︎강력한 냉동 성능 + 실내 에어컨 영향 최소화 → 트윈컴프
✔︎ 대형 트럭 / 장거리 운행 → 서브냉동기
❖ 기업 물류 운송 시 고려 사항
✔︎ 투냉 시스템 필수 여부 확인
✔︎ 온도 기록 센서, 칸막이 등 추가 옵션 체크
✔︎ 유지 비용과 초기 설치 비용 비교
CU / 쿠팡 / 오뚜기 / 투썸 / CJ프레시웨이 / 롯데리아 / 동원 / 등등
전국 모집중
- 기업물류 무엇이든 물어보송 -
- 송팀장 -
- 010-2761-1086 -
'blabla'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럭 내비게이션, 일반 내비와 뭐가 달라? (0) | 2025.03.06 |
---|---|
트럭 가변축(축차)이란? 구저변경 및 장착 이유 총정리 (2) | 2025.03.05 |
밀크런이 뭔가요? (0) | 2023.04.18 |
화물운송종사자격증 재취득을 위한 시험 예약 오류시 ! (0) | 2023.04.17 |
아숙업과 놀아보았다 (0) | 2023.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