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럭 가변축(축차)이란? 구조변경 및 장착 이유 총정리
1. 가변축(축차)의 정의
트럭의 가변축(축차)은 차량의 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해 추가로 설치하는 바퀴축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화물차의 후륜에 장착되며, 적재 중량이 증가할 때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하는 역할을 합니다. 가변축이 장착된 트럭을 줄여서 '축차'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2. 가변축을 장착하는 이유
1) 적재 중량 증가
가변축을 장착하면 공차중량이 1톤 정도 증가하지만, 허용 적재 중량이 크게 증가합니다. 예를 들어, 4.5톤 트럭에 가변축을 장착하면 6.5톤으로 증차가 가능하며, 적재함 길이도 늘어나 16파레트까지 적재할 수 있습니다.
2) 차량 하중 분산 및 주행 안정성 향상
가변축을 사용하면 차량의 전체 하중이 여러 축으로 분산되므로 타이어 마모가 줄어들고, 노면에 미치는 압력이 감소하여 보다 안정적인 주행이 가능합니다.
3) 유가보조금 증가
구조변경을 통해 증차가 완료되면 자동차등록증상에 증가된 톤수로 기재되며, 유가보조금도 이에 맞춰 증가합니다.
3. 가변축 장착 및 구조변경 절차
1) 신규 차량의 경우
🚛 가능함
- 번호판이 발급되지 않은 신규 차량이라면 가변축을 장착한 후 구조변경을 신청하여 등록이 가능합니다.
2) 기존 등록 차량의 경우
🚛 불가능함
- 이미 등록된 차량은 구조변경을 신청하더라도 차량 등록 당시의 무게를 초과할 수 없습니다.
- 2024년 기준, 프레임을 절단하는 개조가 불법으로 규정되어 있어 기존 트럭에 가변축을 추가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 따라서, 가변축을 장착하려면 새 트럭을 구매한 후 장착하는 방법뿐입니다.
4. 가변축의 종류와 장단점
가변축은 구동축을 기준으로 전축(앞축, 푸셔 액슬)과 후축(뒤축, 태그 액슬)로 구분됩니다.
1) 전축(앞축, 푸셔 액슬)
✅ 장점:
- 차량 하중을 구조적으로 안정적으로 분산하여 수명이 길어짐
- 무게 중심이 앞쪽으로 이동하여 비탈길에서도 안정적 주행 가능
❌ 단점:
- 무거운 짐을 실었을 때 차체에 부담이 증가
- 후축보다 가격이 비쌈
🚚 적합 차량: 시내권 운행이 많고 적재함 길이가 짧으며, 중량짐을 자주 싣는 차량
2) 후축(뒤축, 태그 액슬)
✅ 장점:
- 중량물 적재에 유리하며 과적 단속에 상대적으로 이점이 있음
- 전축보다 가격이 저렴함
- 후속 구조변경을 통해 윙바디로 변경 가능
❌ 단점:
- 구조적으로 차체 프레임에 무리가 갈 수 있음
- 비탈길에서 구동축 바퀴가 끌릴 가능성이 있음
🚚 적합 차량: 다양한 화물을 적재하고 장거리 운행이 많은 트럭
5. 가변축 사용 시 주의사항
- 후진, 급격한 회전, 유턴, 출력이 부족한 오르막길에서는 가변축을 올리고 운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 가변축은 대부분 자동 간극 조절 기능(오토 슬랙 어저스트)이 없으므로 수동으로 간극 조정을 해야 합니다.
6. 가변축, 적재량 증가 vs. 연비 저하
가변축의 원래 목적은 차량의 하중을 분산하여 차량 수명을 연장하고 주행 안전성을 높이는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실질적으로는 더 많은 짐을 싣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 장점:
- 적재량 증가
- 차량 수명 연장
- 과적 방지 효과
❌ 단점:
- 추가적인 타이어 마모
- 주행 저항 증가로 인한 연비 저하
현재 법규상 기존 차량에 가변축을 추가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가변축을 원할 경우 신차를 구매하여 장착하는 것이 유일한 방법입니다.
*수정해야 할 사항이 있다면 댓글남겨주세요*
기업물류 전문 운수법인
인사담당 송팀장
010-2761-1086
배송업을 꿈꾸신다면 전화하세요
2.5~14t 이상
'blabla'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KBO 리그 전망: 새 규정 도입과 전력 변화, 우승 후보는? (3) | 2025.03.07 |
---|---|
트럭 내비게이션, 일반 내비와 뭐가 달라? (0) | 2025.03.06 |
화물차 냉동기 (내장탑 / 냉탑 / 투냉 ) (0) | 2023.06.21 |
밀크런이 뭔가요? (0) | 2023.04.18 |
화물운송종사자격증 재취득을 위한 시험 예약 오류시 ! (0) | 2023.04.17 |